[스크랩] 길대신장 장군 { 길대신장 장군 } 복의 존제 유상유상 일길신왕 하시고 천지개창 하시니 천지신명님은 감응 내림하사 삼천삼경 천존대왕 삼천영보천존대왕 옥천원시천존대왕 태청도덕천존대왕 뢰성보화천존대왕 옥천존대왕강림후 삼십삼천지지신장 이십팔수지귀신장 오방신장팔방신장 옥황상제 육.. 나의 공부방/민족신앙 2016.01.14
[스크랩] 100년 전부터 시작되어 왔던 일본의 역사왜곡 -조선의 여인들은 정말 가슴을 드러내고 살았던걸까? 울고있는 조선 여인을 일본 순사가 달래주고 있고, 여인은 깨진 항아리를 들고있다. [조선은 힘이 없으므로 일제가 보호해줘야 한다고 주장(제국주의적 시각)] 풍자화에 등장하는 한국의 이미지 '풍자화로 보는 러일전쟁' 석화정 시앙스포 교수/카롤린 포스텔 비네 대학 일본도 유럽처럼 .. 나의 공부방/역사공부 2014.12.12
[스크랩] 진시황 병마용 박물관 진시황 병마용 박물관 사람들은 흔히 중국 역사상 최대의 폭군으로 진시황과 수양제를 꼽는다. 역사상 처음으로 중국을 완전히 통일하고 중국 왕조의 기틀을 마련한 진시황이 그의 사후를 대비하여 지하 궁전을 짓고 대군단의 토용(土俑)을 만들어서 매설해 놓은 현장을 찾아간다. 서안 시내를 빠져.. 나의 공부방/역사공부 2011.10.18
[스크랩] 때를 잘못만난 실패한 개혁주의자.. 조 광조 실패한 개혁주의자 정암 조광조(靜菴 趙光祖). 한양 조씨. 성종 13년에 한성에서 태어난 그는 17세 때 어천찰방(지금의 역장)으로 부임하는 아버지 조원강을 따라갔다가 그곳에서 무오사화로 평안도 희천에서 유배 중이던 사림파 성리학자 한훤당 김굉필(1454-1504)을 만나 수학한다. 그리고 중종 5년에 장.. 나의 공부방/역사공부 2011.10.18
[스크랩] 모든 종교의 근원은 하느님의 “하나 둘 셋 ...열” 모든 종교의 근원은 하느님의 “하나 둘 셋 ...열” 이 말은 신라 말 어문학과 철학의 성자인 최치원이 쌍계사 난랑비(鸞郞碑) 서문에서 한 말 이다. 崔致遠鸞郞碑序 曰 國有玄妙之道 曰 風流 設敎之源 備詳仙史 實乃包含三敎 接化群生, 且如入則孝於家 出則忠於國 魯司寇之旨也 處無爲之事 行不言之.. 나의 공부방/민족신앙 2011.10.15
[스크랩] 진본 천부경 1 요즘 천부경에 대해 글을 쓰고 키페를 만들며 시중의 책을 낸 사람들은 거의 그 천부경의 진본이라는 신지녹도문은 해독해 볼 생각은 하지 않고 그 예찬시에 불과한 최치원 81자 一始無始一 ...一終無終一을 천부경으로 알고 그것을 이두가 아닌 한자의 뜻으로만 풀려고 하니 말이 되지 않아 그 말씀을.. 나의 공부방/민족경전 2011.10.11
[스크랩] 진본 천부경 2 신지녹도문 [진본 천부경] 하나 둘 셋 ...열 중 하나의 ‘하’ 나뭇가지가 햇빛을 받고 있다. [진본 천부경] 하나의 ‘나’ 무엇이 하늘에서 나린다 할 때나 또는 ‘누리’ 는 땅이며 물질이니 단백질 아미노산 등 몸이다. 따라서 우리글자 ㄱ ㄴ ㄷ...ㅎ 속에는 알파벳과는 달리 뜻이 들어있고 ㄴ은 누리.. 나의 공부방/민족경전 2011.10.11
[스크랩] 진본 천부경 3 홍익인간 이란 뜻. 홍익인간(弘益人間)이란 최치원이 一積十鉅와 無匱化三 으로 한자 뜻이 아닌 이두로 풀어보면 “아홉을 열고 나가면 대 자유인이 된다” 이다. 이것을 남들처럼 한자 뜻으로 풀어 숫자 "하나를 쌓아 열로 커지면... " 아래 최치원 81자 풀이에서 보듯 말이 되지 않는다. 최치원.. 나의 공부방/민족경전 2011.10.11
[스크랩] 최치원 81자를 천부경으로 알고 음양오행설로 풀면 남의 다리를 긁는 것 요즘 어떤 학자, 교수, 스님 등 많은 사람이 천부경(天符經) 이라는 책을 썼는데 모두 一始無始一 로 시작해서 一終無終一로 끝나는 최치원의 81자를 한자 뜻으로 풀고 있는 것 들이었다. 그러나 최치원의 81자는 하느님 교훈인 '한울소리' 우리말 "하나 둘 셋 ...열" 의 뜻을 한자로 쓸 수 없으니 거의 이.. 나의 공부방/민족경전 2011.10.11
[스크랩] 日本`이라는 국호는 원래 한국인들이 쓰던 것이다. 펌 - 발췌] ‘일본(日本)’이란 이름은 삼한(三韓)사람들로부터 유래 ( 삼한(三韓) - 고조선의 진한 마한 변한.) "요시다도고(吉田東伍)"가 펴 낸 ‘대일본지명사서’(大日本地名辭書)의 국호론(國號論)과 명치(明治) 33년 1월에 발간된 역사잡지(歷史雜誌)에는 다음과 같이 적혀 있다. * ‘일본(日本)’이.. 나의 공부방/역사공부 2011.09.03